신학목회 분류

바울의 로마행 / 행 27:1-8

작성자 정보

  • 연합기독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바울의 로마행 / 행 27:1-8

 

이제 바울의 다섯 번의 신문이 끝이 났습니다. 그런데도 아무런 죄목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바울에게 뒤집어씌운 죄목들은 다 종교와 관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총독이나 그 외의 모든 사람들이 바울이 죄가 없음을 알면서도 석방 할 수 없었던 것은 바울이 가이사에게 상소를 하였기 때문입니다. 로마의 시민권을 가진 사람으로서 가이사에게 상솔르 했으니 자신들의 마음대로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결국 바울은 죄수의 몸으로 로마로 향하게 되는 것입니다.

 

율리오의 호송을 받으며 로마로 가는 바울

본문 2절에서 “아시아 해변 각처로 가려 하는 아드라뭇데노 배에 우리가 올라 항해할 새 마게도냐의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도 함께 하니라.” 고 하였습니다. 바울의 일행이 가이샤라의 항구에서 떠 날 채비를 합니다. 처음으로 바울을 태운 배는 소아시아지역을 경유하며 사람을 실어 나르는 아드라뭇데노라는 배였습니다. 그리고 배에 타는 사람을 자신이 혼자가 아님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 라고 하였습니다. 바울과 사도행전을 기록한 사람 누가와 그리고 오늘 등장하는 데살로니가 사람인 아리스다고를 말하는 것입니다. 아마도 그 이상이 될 수도 있겠지만 최소한 세 사람 이상이 바울과 함께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본문 3절에 보면 “이튿날 시돈에 대니 율리오가 바울을 친절히 대하여 친구들에게 가서 대접 받기를 허락하더니” 라고 하였습니다. 즉, 바울을 태운 배가 하루를 북쪽으로 항해하고 배를 시돈에 정박을 시켰습니다. 로마 군대의 백부장이며 호송을 맡은 율리오는 바울을 잘 봤습니다. 그는 친절하게 바울을 대하였습니다. 바울을 죄를 짓고 끌려가는 죄인 취급을 하지 않고 잘 보살펴 주었으며, 동행하는 친구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도 허락하였습니다.

 

알렉산드리아호로 바꾸어 타다

본문 4절을 보면 “또 거기서 우리가 떠나가다가 맞바람을 피하여 구브로 해안을 의지하고 항해하여” 라고 했습니다. 지금 바울이 로마로 호송되는 때는 가을이었기 때문에 풍랑이 자주 일어나는 시기였습니다. 더더욱 연안지역은 상당한 폭풍이 있었으므로 조심해서 배를 몰고 가야 할 입장이었습니다. 원래 배는 육지를 뚝 떨어져 가야 되는데 풍랑이 심함으로 해안선을 따라 갔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상당히 위험한 시기에 떠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5-6절을 보면 “길리기아와 밤빌리아 바다를 건너 루기아의 무라 시에 이르러 거기서 백부장이 이달리야로 가려하는 알렉산드리아 배를 만나 우리를 오르게 하니” 라고 하였습니다. 바울을 태운 배는 소아시아지역 즉, 지금의 터키 지역의 남쪽인 해안을 따라서 항해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길리기아. 밤빌리아, 루기아 지역을 지나쳤음을 볼 수 있습니다. 루기아 지역의 무라시의 항구에 도착한 바울의 일행은 이달리아로 가려면 아시아 지역의 연안을 항해하는 아드라뭇데노 배를 타고서는 갈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배에서 내려 더 큰 배로 옮겨 타야 했습니다. 때마침 에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온 그 당시 에집트의 밀을 싣고 항해하는 상선인 큰 배를 만나 그 배로 옮겨 타게 된 것입니다.

 

바울은 이제 죄수의 몸으로 로마로 이송하게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계획하신 일들을 분명하게 이루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의 사람들은 모든 일들이 하나님께로부터 나오는 것입을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일을 이루시기 위하여 군대를 동원시키시고 바울이 가지고 있는 로마시민권을 이렇게 사용하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주어진 모든 것은 다 하나님께서 뜻하신 대로 이루어 갑니다. 오늘도 내가 어떤 모습과 어떻게 살아가든지 그것은 하나님에 의하여 이루어진 일임을 믿어야 합니다. 그리고 잠잠히 주만 바라보고 나아가야 합니다.

 

신용대 목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