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정

건강행복강좌 분류

『재미있는 한방생리2』편.

작성자 정보

  • 김춘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장상학(臟象學)』중 “오장과 육부”에 대하여 다루는 데 있어서 결코 빼 놓을 수 없는〈기(氣), 혈(血), 진액(津液)〉중에서, 오늘은 『진액(津液)』에 대하여 알아보는 세 번째 시간으로 『진액의 생리기능』에 대하여 알아본다.

“진액”은 각종 영양물질을 풍성히 담고 있는데 이 영양물질로서 전신을 자양·영양하며 “혈(血)”로 변화된다. (이 때, “진(津)”은 “액(液)”에 비하여 비교적 맑고 묽은 성질이 있어서 주로 ‘자윤작용’을 담당하고, “액”은 비교적 농후하고 영양물질이 많으므로 ‘영양작용’을 담당한다.)

『진액』은 인체의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전신에 유포되지 않는 곳이 없다. 인체의 생리기능에 있어서 진액이 담당하는 바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장육부”에서의 진액은 장부를 유양하며 장부의 활동을 순조롭게 하는데, 이를테면 위액은 음식을 받아들여 소화를 잘 하도록 하며, 장액은 변비로 고생하지 않게 한다. 둘째, “골수”로 스며들어, 골수, 척수, 뇌수에 충분한 영양을 주어 윤택하게 하고 또한 “골절”로 스며들어 관절을 부드럽게 해 준다.

그 외에도 셋째, “혈맥”으로 스며들어 혈액을 조성하는 중요한 성분의 하나로 작용하고, 넷째, “피부와 모발”을 윤택하게 하여 건조해지지 않게 하며 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고 마르지 않게 하며, 다섯째로 “눈, 코, 입 등”을 윤택하게 하고 영양하는데, 진액이 부족해지면 목은 건조해지고 입술은 갈라지며 치아와 코도 건조해지고 심하면 코피도 날 뿐 아니라 눈이 침침해질 수도 있다.

또한, “진액(津液)”은 인체에 자양·영양하는 작용 외에도 체내에 “기(氣)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기”는 양에 속하고 무형이며 동적인 바, 반드시 음에 속하는 “진액”에 의존해서 그 속에서 운동하고 변화할 수 있다. 진액은 기가 존재하고 운동하며 변화하는 장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진액과 혈액은 모두 유형이고 정적으로 근원이 같아서 “진혈동원(진혈동원津血同原)”이라 하는데, 혈액은 맥 안으로 흐르고, 진액은 맥 밖으로 흘러 각기 역할을 수행하지만 체내에 진액이 부족하면 혈이 진액으로 변화하고, 혈액이 부족하면 진액이 혈액으로 변화하여 인체의 생리기능을 조절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