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미래의 교회교육 분류

14. 책읽어 주기-독서 감상문 쓰기②

작성자 정보

  • 연합기독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읽기전략

감상문의 성격

  감상문은 어떤 대상에 대한 감상을 구체화한 글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감상 자체가 개인적인 사건인 만큼, 감상문도 필자의 개인적인 수준, 주관적인 수준을 강하게 드러내는 특징을 지닌다. 감상문이 필자의 주관적인 정서적 반응을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사실은 감상문의 대표적인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감상문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감상문은 필자 개인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글이다. 어떤 대상을 보고 감흥을 느끼는 것 자체가 개인적인 사건일 뿐만 아니라 그 감흥의 내용이 어떠한가 하는 것도 개인적이어서 이를 글감으로 하는 감상문은 필자 중심의 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감상문에서는 흔히 필자의 개성이나 주관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대상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필자와 둔감하게 반응하는 필자의 감상문이 서로 다르게 표현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 것은 이 장르의 글이 바로 필자 중심의 성격을 잘 보여 주기 때문이다. 감상의 내용과 방법에서 공감할 수 있는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우선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정서적 반응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이는 부차적인 것이다. 감상문에서는 감상자인 필자가 자신이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글의 내용으로 삼기 때문이다. 감상문을 텍스트 유형에서 ‘정서 표현의 글’로 분류하는 것은 감상문이 필자 중심적인 글임을 보여 주는 좋은 예이다.   둘째, 감상문은 예상독자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지 않는 글이다. 감상문이 예상독자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것은 감상문이 필자 중심의 글이라는 데 있다. 감상문이 필자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표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예상독자에 대한 배려, 즉 예상독자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감상문은 감상의 내용을 독자에게 설득시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필자 자신이 생각하고 느낀 것을 표현하여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자의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장르에서는 예상독자에 대한 인식이 명료하게 드러난다. 독자의 개인적 속성 및 공동체적 특징까지를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필자는 독자의 관심과 지적 배경이나 수준에 맞게 주장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독자의 긍정적인 변화(설득)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설득적인 글에서 예상독자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는 것은 이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감상문은 필자의 감상을 전달하여 그에 설득되도록 하는 목적의 글이 아니다. 감상은 전달하면 족할 뿐, 설득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대상에 대한 정서적 감흥을 표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서, 감상문은 필자 중심의 성격을 보이는 글이라는 점이 지적되었거니와,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감상문은 예상독자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지 않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감상문은 감상 대상의 직접적인 경험이나 접촉을 중시하는 글이다. 감상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접하고’ 나서 그에 따라 형성된 정서적 반응을 표현한 글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경험이나 접촉을 근간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직접 보고 들음으로써 감상의 인지적 작용이 ‘정상적인 수준에서’ 작동되기 때문이다. 문학작품의 감상문을 쓰는 데 대상 소설을 읽지 않고서는 쓸 수 없으며, 영화 감상문을 쓰는 데 그 영화를 보지 않고서는 쓸 수 없다. 물론 자연 경치를 직접 관찰하지 않고서 그에 대한 감흥을 작성할 수도 없다. 또한, 원문이 아니라 설명된 글이나 요약된 글을 읽을 수도 있고 대상을 직접 보는 것이 아니라 사진과 같은 간접적인 매체를 통해 자연 경관을 볼 수도 있지만, 직접적인 실제적인 독서나 관찰과 감상의 폭과 깊이가 같을 수 없다. 실제적인 대상을 직접 경험하고 직접 접촉해 봄으로써 감상의 깊이를 심화할 수 있고 감상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으며, 정서적 반응의 생동감도 더욱 생생하게 포착할 수 있다. 이러한 감상의 직접성과 실제성이 바탕이 되었을 때, 감상문은 필자의 정서적 반응을 더욱 구체적이면서도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감상문은 필자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더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감상문은 대상의 요약과 그에 따른 감상을 내적 구조로 삼고 있다. 대상에 대한 요약이란, 예를 들어 서사 구조를 가진 작품의 경우라면 그 서사 과정을 압축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일컫는다. 우선적으로 이 ‘요약’을 제시하고, 그 작품의 여러 요소와 관련되어 형성된 ‘감상’을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부분 중에서도 핵심적인 것은 후자인 감상 부분이다. 감상문은 말 그대로 필자의 감상을 표현하는 글이므로 필자의 감상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감상 부분은 감상문의 핵심이다. 그래서 근래에는 독서에서 감상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소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대상에 대한 요약과 감상이 감상문의 내적 구조를 이루므로, 감상문은 어느 한 내용 구조에 편중되어서는 안 되며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학생 필자들의 경우, 대상의 내용 요약에 치중되는 경향이 종종 발견되곤 한다. 대상에 대한 감상을 쓰는 것이 감상문임에도 불구하고 감상을 정리하고 표현하기보다는 대상에 대한 요약과 소개가 주를 이루는 감상문을 쓰는 경우가 흔하다. 이는 자기의 ‘감상’을 능동적으로 전개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인데, 필자의 경험과 대상(의 내용)을 연관짓는 방법이나 대상과 대상 사이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하여 감상을 전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쉽게 감상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박영민 글 참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인기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