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칼럼 분류

복지칼럼 | ‘다문화 사회’ 그리고 ‘우리’

작성자 정보

  • 박성후 사회복지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최근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사회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평생교육기관, 사회단체, 복지시설 등 다양한 단체 및 시설에서 ‘다문화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교육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단은 다소 타문화에 대하여 배타적이며 순수혈통에 대한 자긍심이 강한 우리나라에서 서서히 타민족에 대한 개방적 인식이 넓게 퍼져나가고 있다는 것과 이주민에 대한 한국사회 적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많은 곳에서 진행된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 할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에 대한 일방적 ‘우리 문화 이해의 강요’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는 것에는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대체로 ‘다문화 프로그램’들은 한글배우기, 인터넷 활용 등 이주여성들이 대한민국에서 살아가기 위한 기본 능력을 일방적으로 주입시키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기본적인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사실이긴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들이 전부가 될 수는 없으며 이에 앞서 우리사회에서 그들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 인식의 개선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 먼저 그들을 이해할 때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 프로그램’의 성격이 일방적 우리문화 주입이 아닌 상호 이해할 수 있는 커뮤나캐이션의 강화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가족을 포함한 국민모두와 이제 새로운 국민이 되고자 하는 이주민과의 양방향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양하여야 한다. 작게는 가정에서 문화의 차이에서 일어나는 가족간의 갈등 해소, 지역사회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 나아가서는 3세대들의 피부색을 비롯한 외모에서의 차이로 인한 사회부적응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서지원 및 또래집단 프로긂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두는 이주민뿐만 아니라 가족과 국민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여 한다. 이를 토대로 그들을 우리의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이주여성을 포함한 세대를 아루르며 외국인 노동장들을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운영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다문화 프로그램’의 대상 대부분은 국제결혼을 통해 우리 나라에 들어온 이주여성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러 소규모 사회단체 등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다문화 사회’에 접어든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국가 정책 및 민간사회 단체들의 노력이 절실하다.

이글을 쓰고 있는 나 또한 이주민들을 ‘그들’이라 부르고 아직 ‘우리’라고 부리즈 못하고 있다. 우리사회가 ‘그들’을 ‘우리’라고 부를 수 있을 때 ‘다문화 프로그램’이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최근글


인기글


알림 0